HOME > Information > 제지용어
<%
p = sr(request("p"),0)
if p="" then
p="1"
end if
%>




-
사이로(silo)
원료가 silo를 통과하면서 silo에 채워져 있던 백수로 희석(2.5% ~ 3.0%)이 일어난다.
쌍망초지기(twin wire machine)
초지기의 고속화됨에 따라 장망초지기의 탈수 능력의
한계, 양면성등의 문제점 대두되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쌍망초지기이며 탈수와 지필 형성의 원리에 따라 갭 포머(gap
former)와 하이브리드 포머(hybrid former)로 크게 분류된다.
1) 갭 포머(gap former)
갭 포머는 2장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수렴공간(gap 또는 wedge)에 지료를 사출시켜 양쪽 방향으로 탈수하는 초지기이다. 탈수작용은 2장의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생기는 압력과 와이어 밖의 탈수요소에 의해 이루어진다. 갭 포머에는 롤 포머와 블레이드 포머가 있다.
2) 하이브리드
포머(hybrid former)
하이브리드 포머는 초속의 증가, 지합의 개선 및 양면성의 감소를 위해 장망초지기에 블레이드 포머나 롤
포머를 혼합한 방식의 초지기이다. 이 형식의 프리포밍 존(preforming zone)을 갖고 있는데, 이는 사출된 지료가 개방된 프리포밍
존에서 어느 정도로 탈수된 후 두 번째 와이어와 접하게 된다. 하이브리드 포머는 순수한 쌍망 초지기에 비하여 스트리크(streak)를
감소시키고, 보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석션
박스(suction box)
초지기의 wire나 모포에 접해서 상자속을 감압하여 습지나 모포로부터 물을 빨아들여 탈수시키는 장치 또는
suction roll 속에 있는 흡입장치
세로방향(machine
direction)
초지기 위에서 지필이 주행하는 방향, 가로 방향에 대응되는 말로서 흔히 MD로 표시된다.
세팅(setting)
잉크가 종이에 전이되면 저분자의 vehicle이 침투하여 지면의 잉크
도막 내의 용제량이 낮아지고 점성이 커진다. 점성의 증대로 막이 굳어지고 접착성이 없어짐.
쇼우 쓰루(show through)
인쇄면이 반대면에서 보이는 것.
수분(moisture)
펄프나 종이에 함유된 물
수율(%):포장량/재단량*100
초지에서 완정으로 넘어온 제품의 양을 재단하여 포장한 양으로
나눈 것.
스캐너(scanner)
센서를 내장한 상,하 헤드와 헤드를
횡방향으로 왕복 동작시키는 전동기구로 이루어져 있다. 생산되는 제품의 방향을 가로질러 움직이면서 종이의 회분, 수분, 무게, 두께 등을 측정하는
장비.
스크래치(scratch)
도공지 표면에 연속해서 생긴 상처.
스크린(screen)
screen의 slot을 이용하여 원료중에 굵은
입자가 제거되는 공정이다.
스킵스(skips)
미도피 표면이 드문드문
나타나는 것. 원인은 fountain lip에 이물질이 끼였거나, 도공액 중에 air가 혼입되었거나, color pumping량이 적을 경우
나타날 수 있다.
스트리크(streak)
도공지 표면의 선상 도공
불량부.
스트리크 쓰루(streak through)
종이의 한면에
인쇄된 잉크의 비히클이 반대면으로 스며 나오는 것.
습부(wet part)
headbox에서부터 초지기의 건조 공정(dryer part)에 들어가기 전인 압착부에 이르기까지는 지필이 습한 상태로 존재하므로 이
부분을 습부(wet end)라고 하며 이 부분에서는 계면동전현상, 응집(flocculation), 보류(retention),
탈수(drainage)등 많은 물리화학적 현상이 발생된다.
습수
평판의
비화선부에 잉크가 부착되지 않도록 inking전에 판면에 주는 물. 물만으로도 작업할 수 있으나 각종 약제를 가하는 경우가 많다.
시저닝(seasoning)
조습, 종이의 수분이 너무 많을 때는
건조시키고 너무 적을 때는 가습하는 작업.